윤석열, 파격 결정..'청와대 벙커' 대신 버스에서 NSC 주재 > 유저업로드

본문 바로가기
사이트 내 전체검색

회원로그인

회원가입
//ad

윤석열, 파격 결정..'청와대 벙커' 대신 버스에서 NSC 주재

페이지 정보

profile_image
작성자 엠봉
댓글 0건 조회 487회 작성일 22-03-25 10:52 스크랩

본문

//ad

윤석열, 파격 결정..'청와대 벙커' 대신 버스에서 NSC 주재

 

안보 공백 해소·청와대 전면 개방 위한 대책

[이데일리 권혜미 기자] 집무실을 용산 국방부로 이전하겠다는 뜻을 밝혔던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이 취임 후 서울 종로구 통의동 집무실에 머무를 경우 이동용 지휘소인 ‘국가지도통신차량’을 이용하기로 결정했다.

본래 위기 상황에선 청와대 국가위기 관리센터(지하벙커)를 이용하는 방안이 제기됐지만, 윤 당선인은 이를 사용하지 않기로 한 것이다.

24일 청와대 이전 TF 관계자는 다수 매체를 통해 “청와대 위기관리센터를 사용하지 않기로 했다”며 “대신 국가지도통신차량을 이용할 계획”이라고 밝혔다.

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이 24일 오전 서울 종로구 통의동 인수위 앞 천막 기자실을 방문해 커피를 마시며 질의응답을 하고 있다.(사진=국회사진기자단)

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이 24일 오전 서울 종로구 통의동 인수위 앞 천막 기자실을 방문해 커피를 마시며 질의응답을 하고 있다.(사진=국회사진기자단)

이는 ‘안보 공백’ 방지와 동시에 오는 5월 10일 취임 첫날부터 청와대를 100% 개방하겠다는 윤 당선인의 의지가 크게 반영된 대책이라고 전해졌다.

미니버스 크기인 국가지도통신차량은 화상회의시스템, 재난안전통신망, 국가비상지휘망 등을 갖춘 시설이다. 국가안전보장회의(NSC) 화상 소집도 가능하다.

주로 대통령이 지방 일정을 소화할 때나 청와대 밖을 나갈 때 ‘이동 간 지휘 공백’을 만들지 않기 위해 제작된 것으로, 문재인 대통령 때 처음으로 도입됐다.

윤 당선인 측은 만약 취임 뒤에도 국방부 청사로 대통령 집무실 이전이 완료되지 않는다면 이 차량을 통의동 집무실 근처에 상시 대기시키며 안보 공백을 해소하는 구상이라고 밝혔다.

이에 따라 윤 당선인의 취임 직후 청와대 국가위기관리센터(지하벙커) 역시 국민에 개방될 전망이다. 다만 센터의 완전한 개방은 내부 위험 요소에 대한 안전조치가 완료돼야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.

권혜미 (emily00a@edaily.co.kr)

ⓒ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- 무단전재 & 재배포 금지

 

 

 

#ad 스크랩

댓글목록

  • 일간 조회수
      • 게시물이 없습니다.
  • 일간 추천수
      • 게시물이 없습니다.
  • 주간 조회수
      • 게시물이 없습니다.
  • 주간 추천수
      • 게시물이 없습니다.
Total 100,545건 3118 페이지
유저업로드 목록
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추천 날짜
7035 엠봉 433 0 03-25
7034 엠봉 447 0 03-25
7033 엠봉 396 2 03-25
7032 엠봉 433 2 03-25
7031 엠봉 515 1 03-25
7030 엠봉 406 1 03-25
7029 엠봉 885 1 03-25
7028 엠봉 620 0 03-25
7027 엠봉 453 2 03-25
7026 엠봉 967 1 03-25
7025 엠봉 775 1 03-25
7024 엠봉 583 1 03-25
7023 엠봉 445 1 03-25
7022 엠봉 666 3 03-25
7021 엠봉 1122 2 03-25
7020 엠봉 346 1 03-25
7019 엠봉 553 1 03-25
7018 엠봉 446 1 03-25
7017 엠봉 446 0 03-25
7016 엠봉 537 2 03-25
7015 엠봉 470 0 03-25
7014 엠봉 1028 2 03-25
7013 엠봉 522 0 03-25
7012 엠봉 533 2 03-25
7011 엠봉 453 0 03-25
7010 엠봉 448 1 03-25
7009 엠봉 592 2 03-25
7008 엠봉 389 1 03-25
7007 엠봉 490 1 03-25
7006 엠봉 466 1 03-25

검색


엠봉 모바일버전